디지털 용어정리
▣ 토큰 공개 혹은 ICO는 본질적으로 기업이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지원할 목적을 달성하고자 또는 블록체인 기술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 투자금을 유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 ICO는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의 극초기인 개발 단계에서 자본조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성장 가능성이 보이는 기업에 투자를 하고 투자 금액 대비 큰 수익을 기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2017년 이후로 ICO는 매우 제한된 정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투자가 수분 이내에 이루어질 수 있음을 증명하며 초기 기업들 또는 아이디어만 가진 창업가들에게 가장 뜨거운 자본조달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ICO
뱅크런과 같이 가상통화를 기존 화폐로 바꾸려는 수요가 몰리는 상황을 말한다.
코인런(Coin Run)
특정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에게 어떤 비율로 다른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이더리움 지갑에 이더리움을 100개 소유하고 있으면, 이더리움 클래식을 1,000개 지급하는 것이다. 보통 에어드랍을 하기 전 스냅샷이라는 과정을 밟는다.
에어드랍
온라인 투 오프라인(online to offline)의 앞 글자를 따온 것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영단어이다. 최근의 O2O 서비스의 개념은 기존에 활용되지 않았던 유휴자원, 즉 택시공유, 숙박공유, 차량공유 등 사용자들간의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공유의 개념을 통해 연결시켜주는 보다 넓은 광역의 On-demand 경제를 O2O서비스로 이야기 하고 있다.
O2O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은 데카콘(decacorn)[2]이라 부르며 기업가치가 1,000억 달러 이상[3]인 스타트업은 헥토콘(hectorcorn)이라 부른다.
데카콘(decacorn)
보험 '인슈어런스(Insurance)'와 기술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합성어인 인슈어테크가 이전까지는 대면 중심 영업이었던 보험 판매와 가입을 모바일로 옮겨놓는데 일조했다면 이제는 다양한 기술을 통해 가입 절차를 더욱 단순화하고 보험 상품도 다변화한 것으로 보여졌다.
인슈어테크
최근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전략으로 ‘클라우드’가 주목을 받고 있다. 클라우드는 자원 제약이나 미래에 쓸 양을 미리 고민하지 않아도 되고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플랫폼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업이 클라우드를 이용한다는 것은 매년 출시되는 수천 개의 신규 서비스와 기능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는 디지털 전환의 중요한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추가정보의 사용, 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
가명정보
시간, 비용, 기술 등을 합리적으로 고려했을 때 다른 정보를 사용하여도 더 이상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
익명정보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서 정보기술(IT)을 활용해 금융규제 준수 관련 업무를 자동화ㆍ효율화하는 기법
레그테크(RegTech)
─ 국내 법률상의 정의는 없으나, 레그테크는 ‘규제 목적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입법자, 규제기관(행정청), 시장참여자가 협력하여 규제의 준수ㆍ이행과 그 감시ㆍ감독에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음
• 레그테크에서 Regulation은 감독당국이 요구하는 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금융회사 자체의 내부적인 컴플라이언스와는 차이가 있음
다크넷에 존재하는 웹 콘텐츠를 의미하며 접근하기 위해서는 특정 소프트웨어나 설정 또는 인증이 필요합니다. 다크웹의 특징은 검색 엔진에서 인덱싱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구글과 같은 일반적인 검색 엔진으로는 검색할 수 없습니다.
다크웹(Dark Web)
다크웹은 인터넷으로부터 접속자의 IP 주소를 숨기는 웹사이트로 구성된 인터넷 영역이며 보통 접속하기 위해서는 방문자의 IP 주소를 숨기는 특별 프로그램이나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모든 다크웹 사이트는 다크넷에 호스팅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트래픽이 암호화되어 있습니다.
구글로 인해 언제든 검색할 수 있는 정보를 굳이 기억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억하기보단 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나 정보를 불러오기 위한 방법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구글효과
인터넷 플랫폼과 기존의 모바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제조업, 금융, 교육 등의 전통 산업과 융합해 산업 구조를 바꿈으로써 혁신적인 성장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중국의 국가 전략이다.
인터넷 플러스
아마존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에 부과되는 소비세를 말한다. 전자상거래에 적용되는 판매세(Sales Tax)다. 온라인 사업자들의 세금이 면제되면서 상대적으로 오프라인 소매상들이 피해를 본다는 차원에서 입안 논의가 시작됐다.
아마존세
반도체의 셀이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한 종류, 직렬로 연결, 대용량화 가능, 용량 늘리기 쉽고 속도 빠름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는 반도체 칩 내부의 전자회로의 형태에 따라 직렬로 연결된 낸드 플래시와 병렬로 연결된 노어플래시로 구분된다. 낸드플래시는 용량을 늘리기 쉽고 쓰기 속도가 빠른 반면 노어플래시는 읽기 속도가 빠른 장점을 갖고 있다. (노어플래시가 쓰기가 수천 배 느리며 이것은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 낸드 플래시는 저장 단위인 셀을 수직으로 배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좁은 면적에 많은 셀을 만들 수 있어 대용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찾아가 읽기 때문에 노어플래시보다 읽기 속도는 느리지만 별도로 셀의 주소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쓰기 속도는 훨씬 빠르다. 제조 단가가 노어 플래시보다 싸다. 이론적으로 한 셀당 면적이 NOR형의 40% 수준이다. 수많은 셀을 집적해서 대용량을 구현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작은 면적은 엄청난 장점이다. (면적=단가)
NAND Flash Memory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키로깅은 ‘키스트로크 로깅(keystroke logging)’의 약자로, 말 그대로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추적, 기록한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인 컴퓨터뿐 아니라 태블릿, 휴대폰 역시 키로깅의 타깃이 될 수 있으며, 비단 불법 해킹의 목적 외에도 IT 조직의 모니터링 활동이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과정에서도 키로깅이 활용
키로거(keylogger) 공격방식
시스템 설계자나 관리자에 의해 고의로 남겨진 시스템의 보안상 허점을 이용한 것으로, 시스템에 비안가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트랩도어(Trap Door)'
백도어(Back D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