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크리닝 라우터(Screening Router)

- 내/외부 네트워크를 스크리닝 라우터(방화벽을 라우터에 탑재한 형태)로 연결
- 스크리닝 라우터로 연결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IP, TCP/UDP의 패킷 헤더를 분석
- 출발/목적지의 주소, 포트 등을 분석하고, 패킷 필터 규칙에 적용하여 계속 진입시킬 것인지 판별
- 연결 요청이 허가되면 이후 모든 패킷은 연결 단절될 때까지 모두 허용
- 장점 : 속도가 빠름, 비용 절감, 네트워크 방어 범위가 넓음
- 단점 : 패킷 필터링 규칙 구성 어려움, 패킷내의 데이터 공격 차단 어려움, 기록을 관리하기 힘듦
2. 베스천 호스트(Bastion Host)

- 방화벽 시스템을 탑재한 호스트로 내/외부 네트워크 연결
- 베스천 호스트는 내부의 보호된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외부의 공격에 노출된 시스템 구조, 즉 내/외부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 역할 담당
- 기능 : 인증기법, 접근통제, 로그기록, 모니터링 기능 제공
- 장점 : 지능적으로 정보분석
- 단점 : 베스천 호스트 자체 보안 취약성 존재, 관리자에 의한 정기적인 점검, 감시 필요
3. 듀얼 홈 게이트웨이(Dual-Homed Gateway)

-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등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내부네트워크에 연결되는 Bastion 호스트
- 내외부용 2개의 네트워크 카드를 내장한 Bastion Host를 이용하여 연결
- 스크리닝 라우팅 방식과는 달리 라우팅 기능은 존재하지 않음
-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Dual-Homed 게이트웨이를 통과해야 하며 허용된 패킷만을 통과시킴
- 장점 : 보안성 강화, 기록 생성 및 관리 쉬움, 설치 및 유지보수 쉬움
- 단점 : 제공되는 서비스가 증가할 수록 가격 상승, 로그인 정보 누출 시 네트워크 보호 힘듦
4. 스크린드 호스트 게이트웨이(Screened Host Gateway)

- Dual-Homed 게이트웨이와 스크리닝 라우터를 혼합하여 사용한 방화벽 시스템
-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패킷 트래픽을 스크리닝 라우터에서 패킷 필터 규칙에 의해 1차로 방어
- 스크리닝 라우터를 통과한 트래픽은 Bastion 호스트에서 2차로 필터링 하여 점검
- 장점 : 2단계 보안점검 기능, NW 계층과 응용계층에서 방어(공격에 효과적)
- 단점 : 구축 비용 많음, 해커에 의한 스크리닝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변경 가능
5. 스크린드 서브넷 게이트웨이(Screened Subnet Gateway)

- Screening Router를 Bastion Host 중심으로 연결하는 방화벽 구조
- 스크리닝 라우터들 사이에 응용 게이트웨이가 위치하는 구조를 가짐
-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Screened Subnet이라는 완충 지역(DMZ) 개념의 서브넷을 운용
- Screened Subnet에 설치된 Bastion 호스트는 Proxy 서버(응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명확히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모든 트래픽을 거절하는 기능을 수행
- 장점 : 강력한 보안 기능, 스크린 호스트 게이트웨이 방식의 장점 계승, 다단계 방어로 매우 안전
- 단점 : 구축 소요 비용이 많음, 서비스 속도가 느림(지연)
출처: https://berasix.tistory.com/entry/정보보안기사-2-방화벽의-형태구조별-정의 [B e r a S i x-S:티스토리]
'전산 관련 시험 > 전산학(컴퓨터일반)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실제 메모리 용량, 4KB vs 2GB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0) | 2024.04.24 |
---|---|
[OS, 운영체제] RAID 1~6 (0) | 2024.04.15 |
[자료구조] 크루스칼 vs 프림 알고리즘 (0) | 2024.04.14 |
[데이터베이스] 회복과 병행제어 (회복 기법) (0) | 2024.04.10 |
[데이터베이스] - 로킹(Locking) (0) | 2024.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