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Study12

(Study) 임장_입지 및 지역 분석 한국의 부동산, 정치적인 문제가 엮여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이 분명 존재하며우리는 전세제도에 대해 깊은 고민과 생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결국 부동산의 값어치는 매매가격이 아닌 전세가격이 결정한다는 사실.이 하나만 제대로 알아도 결국 부동산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매매가격이 미친듯이 오른 이유는 결국 전세제도를 국가에서 부추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부동산을 투자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시야와 실거주의 입장으로 보는 입장두가지의 장단점은 분명하다고 판단된다. 전세제도라는 한국만의 특이한 제도가 과연 합당하다고 볼 수 있는가?제3기 신도시를 만든다는 명목하에 수도권 시민들을 외부로 보내려는 것이 좋은것일까?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부동산의 시야는 분명하게 달라지겠지만,나만의 관점을 갖기 위해 다양한 관점.. 2024. 7. 5.
(임장) 성북구 역세권 아파트 6호선 역세권 아파트 매매가 6억(26평) 2024. 6. 25.
(임장) 종로구 구축 아파트 언덕으로 인해 엘레베이터가 있다. 입지 대비 언덕으로 인해 매매가가 낮은것이었다. 올수리는 필수인 매물로 보인다. 쌍용 1단지의 경우, 재건축 안전진단 이야기 있다. 성북구, 종로구 모두 뒤에 산이 있으며, 언덕이 높아 매물가가 낮다는 특징이 있다. 창신역을 토대로 (언덕높음) 1,2번 출구는 구축 + 다세대주택 3,4번 출구는 신축 + 대장아파트 (아파트 균질성 떨어짐, 역근처는 다세대 존재) 입지를 보이도 있다. 6호선 배차간격 8분 ~ 12분 간격 지하철이 오래 걸린다. 2024. 6. 16.
(임장) 성북구 북악산 근처 아파트 내가 본 구축 아파트 중 최고의 입지를 자랑하는 아파트라고 확신한다. 하지만 이 아파트의 매매가가 낮은 이유는 아주 명백한데, 바로 뒤에 북악산이 있어 고도가 높아 버스가 단지를 돌아다닐 정도이다. 5000세대 이상 대단지 초품아 역세권 아파트 하지만, 언덕이라는 단점 이에 따라 성북구이지만 매매가가 상당히 낮다. 5000세대 이상이라는 장점은 내부 버스가 돌아다니게 만들고, 근처 상가에 많은것들이 들어와있으며, 5일장 같은 시장이 일주일에 한번씩 열린다. (수요가 있기 때문일듯) 내가 생각해도 실거주에선 최고의 입지라고 생각된다.성신여대입구역과 걸어가기 가까운 거리 버스는 한성대입구에서 내려준다. 주변에 안암동이 가까워 고려대, 4호선 바로 옆은 혜화역으로 성균관대가 존재한다. 대학원을 알아보고 있기에.. 2024.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