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 관련 시험/디지털(IT) 시사용어43 [시사금융용어] GAFA ◆ GAFA란 구글과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의 머리글자를 딴 단어로, 미국 정보기술(IT) 4개 공룡 업체를 뜻한다. '빅 포'(Big Four) 또는 '네 명의 기수'로도 불리며,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와 스콧 갤러웨이 뉴욕주립대 교수가 온라인 활동 지배력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주도한 점을 기준으로 이들 기업을 그룹화했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MS)를 포함해 GAFAM으로 그룹화하기도 하며, GAFAM은 또 구글의 모회사가 알파벳이라는 점을 반영해 FAAAM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만 슈미트 전 CEO는 "MS가 소비자 마음속의 혁명을 주도하고 있지 않다"며 MS를 그룹에서 제외한 바 있다. GAFA는 주요 20개국(G20)이 올해 소위 '구글세' 혹은 '가파(GAFA)세'라고도 불.. 2022. 9. 26. [시사금융용어] 디지털세 다국적기업이 본사가 있는 국가뿐 아니라 일정 규모 이상 매출이 발생한 국가에도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제도 다국적기업이 본사가 있는 국가뿐 아니라 일정 규모 이상 매출이 발생한 국가에도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제도. 다국적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해외에 공장이 위치하지 않은 점을 악용해 매출 발생국에 세금을 내지 않는 맹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과 같은 기업을 대상으로 논의가 시작돼 일명 ‘구글세’로 불린다.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81 디지털세(구글세) - 단비뉴스 다국적기업이 본사가 있는 국가뿐 아니라 일정 규모 이상 매출이 발생한 국가에도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제도. 다국적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해외에 공.. 2022. 9. 26. [시사금융용어] 이상금융거래 탐지시스템(FDS) ◆ 이상금융거래 탐지시스템(FDS)은 전자금융거래에서 사기나 부정대출 등 의심스러운 거래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이를 차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FDS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바탕으로 단말기 정보와 접속 정보, 거래 정보 등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그다음 평소 금융패턴과 다른 이상행위에 점수를 매겨서 특정 점수를 넘기면 거래를 중단한다. 카드사와 보험사 등에서 먼저 실시됐고 은행, 증권사로 확대됐다. 또 모바일 결제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도 기존 보안 체계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보안 체계는 외부 해커의 데이터베이스(DB) 침입이나 계정 접근, 위·변조 차단에 초점이 맞춰있는데, FDS는 여러 정보를 분석해 거래를 차단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보안으로 평가받는다. 또 기존 보안 체계.. 2022. 9. 26. [시사금융용어] 마이페이먼트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71954 [시사금융용어] 마이페이먼트 - 연합인포맥스 ◆ 마이페이먼트(My Payment)는 지급지시서비스업이라고 불리는 사업으로, 결제 자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정보만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해당 서비스가 도입되면 로그인 news.einfomax.co.kr ◆ 마이페이먼트(My Payment)는 지급지시서비스업이라고 불리는 사업으로, 결제 자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정보만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해당 서비스가 도입되면 로그인 한 번으로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계좌를 활용해 결제나 송금을 처리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가 주를 이루.. 2022. 9. 26.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