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산 관련 시험/전산학(컴퓨터일반) 개념정리37

[데이터베이스] - 로킹(Locking) 1. 병행제어 기법 로킹(Locking) - 데이터베이스 병행 제어를 위해 트랜잭션(transaction)이 접근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잠가(lock)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병행 제어 기법이다. - 트랜잭션이 어떤 데이터에 접근하고자 할 때 로킹을 수행 - 로킹이 되어 있는 데이터에는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할 수 없음 - 트랜잭션은 로킹이 된 데이터에 대해서만 연산을 수행 - 로킹 단위: 필드, 레코드, 테이블, 파일, 데이터베이스 모두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 한 번에 로킹 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 로킹 단위 로크의 수 병행 제어 로킹 오버헤드 병행성 수준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커짐 적어짐 단순해짐 감소 낮아짐 감소 작아짐 커짐 복잡해짐 증가 높아짐 증가 정보처.. 2024. 4. 10.
[OS] 2단계 페이징, 역페이징, 페이지 테이블 용량 등 https://charles098.tistory.com/108 1. 페이지 테이블의 구조 (Structure of the Page Table) 많은 현대 컴퓨터는 매우 큰 주소 공간 (32 bits, or 64 bits)를 가진다. 이러한 환경에서 페이지 테이블도 상당히 커진다. Example 32bit 논리 주소 공간, page size : 4KB 페이지 테이블은 (2^32/2^12) 개의 entry를 가질 것이다. 각 entry는 4Byte로 구성되기 때문에 2^22 = 4MB의 공간이 필요하다. 페이지 테이블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메인 메모리에서 연속적으로 할당하기를 어렵다. (1) 계층적 페이징 (Hierarchical Paging) 2단계 페이징 기법(two-level paging scheme).. 2024. 4. 10.
[자료구조] AVL 트리_7급 AVL 트리 sungjine 2022. 2. 12. 10:14 AVL 트리는 값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스스로 균형을 잡는 이진 탐색 트리이다. 이 트리는 두 자식 트리의 높이가 항상 최대 1만큼 차이나야 하며 차이가 1보다 커지면 스스로 트리를 회전하여 균형을 잡으며 삽입과 삭제는 한 번 이상의 트리 회전을 통해 균형을 잡을 수 있다. 검색, 삽입, 삭제는 모두 평균과 최악의 경우 O(log n)의 시간 복잡도가 걸린다. 회전 트리의 자식 노드 간 차수의 차가 1보다 커지게 되면 균형이 맞지 않다고 보고 트리를 재구성하는데 이 작업을 회전이라 한다. 회전하는 모양에 따라서 LL 회전, LR 회전, RR 회전, RL 회전이라고 할 수 있다. 각 회전을 구분하는 방법은 회전하는 노드가 왼쪽 자식 노드, 왼.. 2023. 5. 7.
[OS] 문맥교환 (Context Switching) PCB (Process Control Block) 운영체제가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들을 관리하기 위해 프로세스마다 유지하는 정보들을 담는 커널 내 자료구조. 커널 주소 공간의 data 영역에 존재합니다. PCB에 저장되는 내용들 Process 상태 CPU를 할당해도 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C 값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가리킵니다. CPU Register CPU 연산을 위해 현 시점에 레지스터에 어떤 값을 저장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CPU 스케줄링 정보 메모리 관리 정보 자원 사용 정보 입출력 상태 정보 등등 문맥 교환이란? 하나의 사용자 프로세스로부터 다른 사용자 프로세스로 CPU의 제어권이 이양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실행 상태에 있던 프로세스(A)가 입출력을 요청해야 하는 ..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