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 관련 시험/전산학(컴퓨터일반) 개념정리37 [OS, 운영체제] RAID 1~6 RAID는 왜? 사용되나 : 서버의 사용자가 서버 운영에 있어 가장 당혹스러울 때는 하드디스크의 장애로 인한 data 손실일 것입니다. 하드디스크는 사실 상 소모품으로 분류되며 I/O 가 많은 서버에는 고장이 잦은 것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경우 손실 또는 유출 되었을 때 치명적인 것이 대부분일 것으로 대표적으로 은행과 같은 금융, 군사적 목적의 데이터가 있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백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있고 또한, 여분의 디스크가 있어 용량을 증설하려고 할 때 데이터 손실 없이 증설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서버 관리자는 RAID 구성을 통해 하드디스크의 가용성을 높이거나 서버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RAID란? : RAID.. 2024. 4. 15.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구조 1. 스크리닝 라우터(Screening Router) - 내/외부 네트워크를 스크리닝 라우터(방화벽을 라우터에 탑재한 형태)로 연결 - 스크리닝 라우터로 연결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 IP, TCP/UDP의 패킷 헤더를 분석 - 출발/목적지의 주소, 포트 등을 분석하고, 패킷 필터 규칙에 적용하여 계속 진입시킬 것인지 판별 - 연결 요청이 허가되면 이후 모든 패킷은 연결 단절될 때까지 모두 허용 - 장점 : 속도가 빠름, 비용 절감, 네트워크 방어 범위가 넓음 - 단점 : 패킷 필터링 규칙 구성 어려움, 패킷내의 데이터 공격 차단 어려움, 기록을 관리하기 힘듦 2. 베스천 호스트(Bastion Host) - 방화벽 시스템을 탑재한 호스트로 내/외부 네트워크 연결 - 베스천 호스트는 내부의 보호된 네트워크에.. 2024. 4. 14. [자료구조] 크루스칼 vs 프림 알고리즘 3. 크루스칼 알고리즘 ( Kruskal's algorithm )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은 '그리디'스러운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을 따라가면 최소 스패닝 트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step 0) 모든 간선을 끊어 놓는다. step 1) 가중치 순으로 간선들을 정렬한다. (오름차순) step 2) 정렬된 간선을 순서대로 선택한다. step 3) 선택한 간선의 두 정점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간선을 최소 스패닝 트리에 포함 시키고 두 정점을 연결한다. ( 1-2-3 처럼 간접적인 연결이어도 1,3 은 연결되어 있는 걸로 친다.) 예시 그래프를 통해 알고리즘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편의 상, 연결되지 않은 간선은 점선, 연결된 간선은 실선으로 표현하겠습니다. step 0) 모든 간선을 끊어 .. 2024. 4. 14. [데이터베이스] 회복과 병행제어 (회복 기법) 장애와 회복 (Failure & Recovery) 트랜잭션의 특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모순이 없는 일관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회복 기능을 제공한다. 회복(Recovery)은 장애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베이스를 장애가 발생하기 전의 일관된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이다. 먼저 어떤 경우에 회복 기능이 필요한지, 데이터베이스가 저장 장치에 어떤 연산을 통해 저장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의 유형과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연산을 살펴본다. 1. 장애의 유형 (Failure)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장애라고 한다. 장애가 발생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2024. 4. 10.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