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산 관련 시험/디지털(IT) 시사용어43

[시사금융용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소통 양식이다. 컴퓨터와 일반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대비된다. 최근 프로그램을 통한 자동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API 양식을 제공하는 증권·가상화폐 거래소가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는 API를 통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시세 정보를 호출하고, 다시 API를 통해 거래소 서버에 특정 자산을 매각하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다. API는 통상 특정 주소를 통해 미리 약속된 문자열을 수신하면 그에 맞는 데이터를 회신하는 방식을 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예는 웹페이지에 회사 로고를 클릭하면 회사 홈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 같은 시각 정보를 통해 .. 2022. 11. 4.
[시사금융용어] 양자컴퓨터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활용해 연산하는 계산 기계다. 이러한 방법을 '양자 컴퓨팅'(quantum computing)이라고도 한다. 기존 컴퓨터는 0과 1만을 구분할 수 있어 2진법인 비트(bit)를 활용해 모든 계산을 처리한다. 반면 양자컴퓨터는 0과 1 외에도 중첩, 얽힘 등의 다양한 양자역학적 상태를 포함한 '큐비트'를 연산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산 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현존 최고의 슈퍼컴퓨터가 수백 년이 걸려도 풀기 힘든 문제도 단 몇 초 이내의 어마어마한 속도로 빠르게 풀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019년 구글은 비트 기반 컴퓨터로 1만 년이 걸리는 작업을 양자 컴퓨터로 200초.. 2022. 11. 4.
[시사금융용어] 샤딩(Sharding) ▲'샤딩(Sharding)'이란 사금파리(Shard)라는 어원에서 비롯된 말로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눠 저장하는 기술을 뜻한다. 한 곳에 저장돼 있던 데이터를 여러 샤드에 중복 저장하거나 하나에만 저장할 수 있다. 샤드란 수평 분할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다. 블록체인은 여러 서버(노드)에 같은 내용을 저장해 위조와 변조가 어렵게 만드는 기술이다. 보통 노드가 많아지면 합의에 도달하기가 어려워지지만 샤딩 기술을 통해 노드가 많아질수록 처리 가능한 거래량이 증가하게 된다. 노드 수가 증가하면 확장성, 탈중앙화,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샤딩의 장점으로 꼽힌다. 기존에는 검증자 노드 수가 증가하면 검증 속도가 느려졌으나 샤드 체인의 경우 노드 수가 증가하면 오히려 네트워크 처리 용량이 증가한다. 이처럼 샤.. 2022. 11. 4.
[시사금융용어] 디지털시장법(DMA) ◆ 디지털시장법(DMA·Digital Markets Act)이란 유럽연합(EU)이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을 억제하자는 취지로 지난 2020년 말부터 추진해 온 법안을 의미한다. DMA는 EU 역내 디지털 플랫폼 시장의 경쟁 활성화와 함께 시장 지배력을 제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법안으로, 글로벌 빅테크 규제의 대표격이다. 해당 법안은 플랫폼 기업이 사업 참여자 및 최종 이용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게이트키퍼'로 대두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 '게이트키퍼'에 대해 규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핵심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가 게이트키퍼로 분류되는 조건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로 최근 3개 회계연도에 유럽 경제지역(EEA)에서 연간 매출액이 65억 유로 이상이거나 지난 1년간 평균 시가총액이 650억 유로 이상으.. 2022. 11. 4.